User:Djyoo1110/sandbox

From Wikipedia, the free encyclopedia

Inmyeonjo

It is an imaginary creature that appears in myths from all over the world as a bird of human face. The half of shape is human, and the other is bird. To be more specific, the face is human, the body is bird or upper body is human, lower body is bird. Most of them are women, and some are male.[1]

Inmyeonjo is known as a sacred bird that connects the sky with the land, often appearing in the ancient tomb mural of Three Kingdoms of Korea. In the case of Goguryeo, it can be found in several tomb murals such as the Anak County tombs, the ancient Dukheungri tombs, the Samsilchong, and the Mooyongchong. Named as Cheonchu(天秋) and Mansei(萬歲) in the ancient Dukheungri tombs in Nampo, South Pyongan Province in 1976, they are a symbol of longevity, known to live for a thousand years. In the case of Silla, the gilt-bronze shoes excavated in Gyeongju is shown. In the case of Baekje, four inmyeonjos are found in the Gilt-bronze Incense Burner of Baekje. In particular, there are many opinions that inmyeonjo in the Silver Cup with Bronze Stand(銅托銀盞) is the same as it in Goguryeo for a symbol of longevity. On the other hand, there are some opinions that it is Kalavinka because of shape of the wings. Kalavinka is a imaginary creature that tells the Buddha's words that appear in ancient Indian myths and Buddhist texts.

Meanwhile, in the opening ceremony of the 2018 Winter Olympic Games in PyeongChang, inmyeonjo attracted the attention of the whole world.

Korean Culture[edit]

In Korea, after the 5th century, artifacts and mural paintings that show the shape of a human-faced bird in Goguryeo and Baekje tombs are found. The inmyeonjo is depicted in the bottom of the Silver Cup with Bronze Stand(銅托銀盞) excavated from the Tomb of King Muryeong in Gongju of South Chungcheong Province.[2] The creature's head and arms are human, but the body is a bird, and the head is wearing a corolla with feathers of birds. In the tomb of Dukheungri in South Pyongan Province, and in the Mooyongchong in Manchuria, mural paintings are found. In particular, the inmyeonjo painted on the ceiling of the Mooyongchong had been wearing long hats that Xian loved to show the fusion of Buddhism and Taoism culture.[3]

Buddhist Culture[edit]

It is interpreted that it contains the meaning to pray for Sukhavati(極樂往生) of Pure land(淨土) under the influence of Kalaviṅka(迦陵迦迦) of Buddhism found in the tombs of Goguryo and Baekje. Kalaviṅka is a bird that appears in the Sanskrit word "kalavinka" in Chinese characters. It is a bird that comes from living in Sukhavati of Amitābha. It is said that the upper part of the body is a person, and the lower part is a bird. Also, it is said that it has very beautiful and strange voice before it comes out from the shell. So it has many other names, and it is considered a symbol of the Buddha's teachings. In Buddhist art in East Asia, not only in Korea but also in China and Japan, there are a wide range of artifacts depicting Kalaviṅka, which are also depicted as dancing or playing music on the murals of Dunhuang.[4]

On the other hand, Buddhism's Kalaviṅka is influenced by Indian mythology. Gandharva is a man whose a upper body is male, and a lower body of a bird or horse, and has a golden wing, while serving Indra in Hindu mythology and playing musics of Devaloka(天界). In the Southeast Asian Buddhism such as Thailand and other countries, inmyeonjo is a god with Gandharva who are in charge of music.

Inmyeonjo also appears in traditional Chinese mythology and Taoism culture. It is recorded in the "Classic of Mountains and Seas".[5] They are also said to have a bird's body on the face of a man and live as a name for a long time.

Western Culture[edit]

Inmyeonjo also appears in Greek mythology. Homeros and Hesiodos records include the name Siren. At first, only the head was human, and the body was drawn as a bird, but gradually the entire upper body was depicted as a beautiful woman with musical instruments. Sirens were thought to seduce the sailors in a very sweet sound and sink their ships. In Virgil's "Aeneid", the name "Harpy" appears. According to legend, Harpy is a bird with a woman's face, flying faster than the wind and eating children and human souls.[6]

In the 2018 Winter Olympic Games in PyeongChang[edit]

The giant mythological creature, called “Inmyeonjo” in Korean, appeared onstage following the countdown in the opening ceremony of the 2018 Winter Olympic Games in PyeongChang. It soon moved to the center of the stage, surrounded by the Four Symbols- blue dragon, white tiger, red bird, black tortoise - and dancing women dressed in costumes of the ancient Korean kingdom of Goguryeo. The animal's long neck and dragon-like body, combined with its human face, grabbed the attention of many spectators.[7]

The Inmyeonjo is a legendary animal that appears in East Asian mythology and Buddhist scripture as a fantastical creature with a human head and a bird’s torso.[8] Inmyeonjo is a fantastical animal known to travel across the land and the sky and live a thousand years, symbolizing longevity. It dates back to the Goguryeo period of Korean history, even appearing in cave drawings. The Inmyeonjo is supposed to appear when there’s peace on earth, connecting the heavens and the earth for a thousand years.

인면조

사람의 얼굴을 한 새[鳥]로 세계 각지의 신화에 등장하는 상상의 동물이다. 반은 사람, 반은 새의 모습인 반인반조(半人半鳥)의 형상을 하고 있는데, 얼굴은 사람이고 몸은 새인 모습 또는 상반신은 사람이고 하반신은 새인 모습으로 나타난다. 인간 여성인 모습이 대부분이며 남성인 경우도 있다.

인면조는 삼국시대 고분미술에 종종 등장하는 소재로 하늘과 땅을 이어주는 상서로운 새로 알려져 있다. 고구려의 경우에는 안악 3호분, 덕흥리 고분, 삼실총, 무용총 등 여러 고분 벽화에서 찾아 볼 수 있다. 1976년 발견된 평안남도 남포시 덕흥리 고분에 그려진 천추(天秋)나 만세(萬歲)라는 이름의 인면조들은 천년, 혹은 만년을 산다고 알려진 장생을 상징하는 상서로운 존재들이다. 신라의 경우에는 경주 식리총 출토 금동식리에 인면조가 나타나 있다. 백제에서는 백제금동대향로에 모두 4마리의 인면조가 등장하며, 무령왕릉에서 출토된 동탁은잔과 능산리 출토 금동대향로에도 인면조가 그려져 있다. 특히 동탁은잔의 인면조는 고구려의 천추, 만세와 같이 장생을 상징하는 서수로서의 존재와 같은 것이라는 의견이 많지만, 한편으로는 날개 앞쪽으로 연꽃을 들고 있다는 점에서 불교의 가릉빈가라는 의견도 있다. 가릉빈가는 고대 인도 신화와 불경에 등장하는 상상의 새로, 히말라야에서 태어난 불사조이자 부처의 말씀을 전하는 새이다.

한편, 2018 평창동계올림픽 개막식에 인면조가 등장해 전 세계인의 이목을 끌었다.

한국문화

한국에서는 5세기 이후의 고구려와 백제의 고분에서 인면조(人面鳥)의 형상을 나타낸 유물이나 벽화가 발견된다. 충청남도 공주의 무령왕릉에서 출토된 동탁은잔(銅托銀盞)의 받침에는 중심부의 연꽃무늬 주위로 인면조가 음각으로 새겨져 있다. 머리와 팔은 사람이고 몸은 새인데, 머리에 새의 깃털이 달린 화관을 쓰고 있다. 고구려의 고분인 평안남도 대안(大安)의 덕흥리 벽화무덤과 만주 집안현(集安縣)의 무용총(舞踊塚)에서도 인면조가 그려진 벽화가 발견된다. 특히 무용총의 천장에 그려진 인면조는 신선들이 즐겨 쓰던 긴 모자를 쓰고 있어서 불교와 도교 문화가 융합된 모습을 보이고 있다.

불교문화

고구려, 백제의 고분에서 발견되는 인면조 문양은 불교의 가릉빈가(迦陵頻迦)의 영향을 받아 정토(淨土)로의 극락왕생(極樂往生)을 기원하는 의미를 담고 있는 것으로 해석된다. 산스크리트어 ‘칼라빈카(kalavinka)’를 한자로 표기해 나타낸 가릉빈가는 《아미타경(阿彌陀經)》에서 공명조(共命鳥)와 함께 극락정토에 사는 것으로 나오는 새이다. 이 새는 상반신은 사람, 하반신은 새의 모습이라고 하는데, 껍질을 깨고 나오기 전부터 매우 아름답고 묘한 소리를 낸다고 한다. 그래서 묘음조(妙音鳥)나 호성조(好聲鳥)ㆍ일음조(逸音鳥)ㆍ묘성조(妙聲鳥)라고도 불리며, 부처의 가르침을 상징하는 새로 여겨진다.[9] 한국뿐 아니라 중국, 일본 등 동아시아의 불교미술에서는 가릉빈가를 묘사한 유물이 폭넓게 발견되는데, 둔황[敦煌]의 벽화에는 춤추거나 음악을 연주하고 있는 모습으로도 표현되어 있다.

한편, 불교의 가릉빈가는 인도 신화의 영향을 받아 나타난 것이다. 인도 신화에서 인드라 신을 섬기며 천계(天界)의 음악을 연주하는 간다르바[Gandharva, 불교의 건달바(乾闥婆)]는 상반신이 남성이며, 황금 날개와 새나 말의 하반신을 한 모습으로 형상화된다. 타이 등의 동남아시아 불교에서는 건달바와 함께 음악을 담당하는 천신이며, 불법을 수호하는 8신인 천룡팔부중(天龍八部衆)에 속하는 긴나라(緊那羅)가 상반신은 인간, 하반신은 새의 모습을 한 모습으로 묘사되기도 한다.

인면조는 중국의 전통 신화나 도교 문화에도 등장한다. 《산해경(山海經)》의 〈대황북경(大荒北經)〉에는 북해(北海)와 대황(大荒)에 각각 ‘우강(禺彊)’과 ‘구봉(九鳳)’이라는 인면조가 산다고 기록되어 있다. 모두 사람의 얼굴과 새의 몸을 하고 있는데, 우강은 두 귀에 청사(青蛇)를 달고 두 발로는 적사(赤蛇)를 밟고 있으며, 구봉은 머리가 아홉 개라고 한다. 그리고 4세기에 갈홍(葛洪)이 쓴 《포박자(抱朴子)》의 〈대속(對俗)〉 편에는 ‘천세(千歲)’와 ‘만세(萬歲)’라는 이름의 인면조가 등장한다. 이들도 사람의 얼굴에 새의 몸을 하고 있으며, 이름처럼 오래 산다고 기록되어 있다.

서양문화

인면조는 그리스ㆍ로마의 신화에도 등장한다. 호메로스(Homeros)와 헤시오도스(Hesiodos) 등의 기록에는 ‘세이렌(Seiren)’이라는 이름의 인면조가 등장한다. 처음에는 머리만 인간이고 몸통은 새의 모습으로 그려졌지만, 점차 상반신 전체가 악기를 든 아름다운 여성의 모습으로 묘사되었다. 세이렌은 매우 달콤한 소리로 뱃사람을 유혹해 그들이 탄 배를 침몰시킨다고 여겨졌다. 베르길리우스(Publius Vergilius Maro)의 《아이네이스》 등에는 ‘하르피이아(Harpyia)’라는 이름의 인면조가 등장한다. 전설에 따르면 하르피이아는 여자의 얼굴을 가진 새인데, 바람보다도 빠르게 날아다니면서 아이들과 인간의 영혼을 잡아먹는다고 한다.

가마솥

모양

한국의 대가족에 적합하게 매우 큼직하고 우묵하게 생겼다. 일반적으로 가마는 불을 때는 기구, 솥은 밥을 짓는 냄비 혹은 그릇을 의미하나 가마가 솥의 의미까지 담고 있기도 하다. 때문에 가마솥을 줄여서 그냥 가마라고도 한다. 가마솥은 다리가 없고 솥 바닥이 둥글며 대개 입구의 가장자리가 약간 오므라들어 있다. 몸체에 네 개의 귀가 달려 있어 부뚜막에 걸쳐 놓기에 편리하다. 뚜껑도 무쇠로 만들며 여닫을 때 편리하게 가운데에 꼭지가 달려있다.

가마솥은 무쇠로 만들어졌기 때문에 겉부분이 벗겨질 수 있다.

shape

It was very large and recessed to fit the large family of Korea. In general, a gama means a utensil when the fire is made, and a sot means a pot or bowl that cooks rice, but a kiln contains the meaning of the pot. Because of that, it is called a kiln just by reducing cauldron. The cauldron has no legs and the bottom of the pot is round and usually has a small opening at the edge of the entrance. There are four ears on the body, which is convenient to put across the stove. The lid is made of cast iron, and it has a convenient tap in the middle.

The cauldron is made of cast iron, so the outer surface can be peeled off.

용도

한옥의 부엌에서 부뚜막은 난방과 취사를 겸해서 사용할 수 있는 화덕이고 가마솥은 부뚜막을 취사 용도로 사용하기 위해 고안된 대형 냄비라고 할 수 있다. 가마솥은 매우 커서 부뚜막에 거의 고정하여 놓고 사용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Usage

In the hanok's kitchen, the cooking pot can be used for heating and cooking, and the cauldron is a large pot designed for use as a cooking utensil. The cauldron is very large, so it is common to use it almost fixed to the dish.

역사

한국에서는 이미 삼국 시대 이전부터 솥이 사용된 것으로 보인다. 당시의 고분에서 토기로 만든 솥이 출토되었고 고분 벽화에서도 솥의 그림을 발견할 수 있기 때문이다. 솥이 사용되기 전에는 시루에 곡물을 넣고 떡을 쪄서 먹었다. 그 이후의 고분에서는 흙이 아닌 놋쇠나 구리로 만든 솥이 나왔다는 기록이 있는데 아마도 이 시대부터 쇠를 이용한 솥을 사용한 듯하다.

history

In Korea, pot has been used before the age of Three Kingdoms. A pot made of earthenware was excavated from the burial mound at that time, and it is possible to find a picture of the pot even from tomb murals. Before the pot was used, the grain was put into the siru and steamed the rice cake. There is a record in the burial mounds afterwards that a pot made of brass or copper, not earth, came out, probably from this period, it seems to have used a pot.

원리

무쇠로 만든 가마솥은 열전도율이 낮아 강한 열을 받아도 쉽게 전달되지 않고, 따라서 뜨거워지는 데는 조금 시간이 걸리지만 일단 달구어지면 쉽게 식지 않는다. 그렇기 때문에 가마솥은 부뚜막 밑에서 장작불을 세게 때면 그 열을 머금고 있다가 솥 안의 재료에 조금씩 전달하여 음식물을 속속들이 익혀준다. 또 한번 끓인 물을 오랫동안 식지 않게 만들어 주기 때문에 밥과 국을 주식으로 하는 한국 사람들에게는 매우 유익한 조리 기구이다.

한국인이 좋아하는 쌀밥을 만들어내는 가마솥의 핵심 원리는 솥 안의 압력을 높은 상태로 유지하고 물의 끓는 점을 120도까지 높여 짧은 시간내 밥알을 익히는 데 있다. 통째로 서서히 가열돼 장시간 높은 온도를 유지하는 무쇠의 특성과 가마솥을 위에서 눌러 높은 압력을 내도록 하는 무거운 솥뚜껑이 중요한 역할을 한다.

principle

A cauldron made of cast iron has a low thermal conductivity, so it does not easily transfer even if it receives strong heat, so it takes a little time to get hot, but it does not cool easily once it gets hot. Therefore, the cauldron will heat the wood when it is under the fire, and then send it to the ingredients in the pot to cook the food thoroughly. It is also a very useful cooking tool for Koreans with rice and soup stocks because it makes the boiled water not to cool down for a long time.

The key principle of the cauldron, which produces Korean rice, is to keep the pressure in the pot high and raise the boiling point of the water to 120 degrees to cook rice in a short time. The characteristics of cast iron, which is heated slowly and keeps high temperature for a long time, and the heavy lid that presses the cauldron from above to make high pressure, plays an important role.

기타

21세기의 일반 한국 가정에서는 가마솥을 보기 힘들다. 대가족이 사라지면서 가족의 수가 작아져서 큰 솥을 불필요한 데다가 주방 구조가 달라져서 더 이상 장작을 연료로 쓰지 않기 때문이다. 더욱이 값싼 양은냄비가 각 가정에 보급되면서 가마솥은 더욱 빨리 자취를 감추게 되었다. 그렇지만 양은냄비는 가마솥과는 달리 열전도율이 매우 높아 빨리 끓는 대신 빨리 식어버리기 때문에 근본적으로 가마솥과 같은 맛을 낼 수가 없다. 그래서 최근에는 이러한 가마솥의 장점을 살린 밥솥들이 다양한 형태로 다시 나타나고 있다. 가마솥은 한 가정을 대표하는 주방 기구로 생각하여 집을 짓거나 이사를 할 때에는 가장 먼저 이것부터 부뚜막에 걸었다. 이와 같은 행위는 곧 살림을 차린다는 것을 상징하는데 이런 관행에서 한가족이나 한집에서 오랫동안 함께 산 사람을 가리켜 한국에서는 ‘한솥밥을 먹고 지내는 사이’라고 말하기도 한다.

Etc

It is hard to see cauldron in general Korean family of the 21st century. As the large family disappears, the number of families is reduced, the big pot is unnecessary, and the kitchen structure is changed, and the wood is no longer used as a fuel. Moreover, as the pot was introduced to each household, the caldron was quickly hidden. However, sheep pots have a very high thermal conductivity, unlike cauldron pots, so they quickly cool down instead of boiling quickly, so they can not basically taste like a cauldron. Recently, rice cookers that utilize the advantages of these cauldron cookers are reappearing in various forms. I thought the cauldron was a kitchen utensil representing a family, and when I built or moved a house, I first walked to the cottage. This practice symbolizes the imminent residence of the people. In this practice, people living together in a family or a house for a long time also refer to it as "eating a meal together" in Korea.

세계 최대 크기 가마솥 - 충북 괴산군

5억들여 만들었지만 논란 지속

http://www.hani.co.kr/arti/specialsection/esc_section/440091.html

http://www.hani.co.kr/arti/science/science_general/299101.html

http://www.chf.or.kr/c2/sub2_2.jsp?thisPage=1&searchField=&searchText=&brdType=R&bbIdx=100952

  1. ^ "평창 개막식 '신스틸러' 인면조…어디서 유래했나보니". 서울신문 (in Korean). 2018-02-10. Retrieved 2018-06-21.
  2. ^ "인면조, 신도 요괴도 아닌" (in Korean). 2018-02-11. Retrieved 2018-06-21.
  3. ^ "'인면조' 쇼크…"잊혔던 동아시아인의 오랜 꿈"" (in Korean). Retrieved 2018-06-21.
  4. ^ "평창 올림픽 개막식 인면조의 정체는 '가릉빈가'?" (in Korean). 1999-11-30. Retrieved 2018-06-04.
  5. ^ "산혜경대황북경중 불함산 - 문화콘텐츠닷컴". www.culturecontent.com (in Korean). Retrieved 2018-06-05.
  6. ^ 크리스천투데이 (2018-02-11). "평창올림픽 개회식, 그리고 역사 속 '인면조'와 신화적 내세관". 크리스천투데이 ChristianToday (in Korean). Retrieved 2018-06-21.
  7. ^ News, A. B. C. (2018-02-11). "Human-faced bird in Olympics opening ceremony: Was it creepy or hilarious?". ABC News. Retrieved 2018-06-24. {{cite web}}: |last= has generic name (help)
  8. ^ "The internet is obsessed with the Olympics' human-faced bird". The Verge. Retrieved 2018-06-24.
  9. ^ "불자상식-가릉빈가란 어떤 새이며 여기에 담긴 의미 - 불교신문" (in Korean). Retrieved 2018-06-21.